검색결과 리스트
IDE/Tool/Visual Studio에 해당되는 글 23건
- 2015.01.30 [Visual Studio] Managing Packages Using the Package Manager Console
- 2014.11.15 [Visual Studio] Visual Studio 2013 Community Edition
- 2013.07.03 [Visual Studio] Remote Debugger
- 2013.05.28 [Visual Studio] Advanced Debugging in Visual Studio
- 2013.04.17 [Visual Studio] Visual Studio 설치 관리자
- 2013.03.08 [Visual Stdio 2010] 공백 표시
- 2013.02.01 [Visual Studio] Visual Studio Automation Object Model
- 2012.12.18 [Visual Studio 2010] Visual Studio Automatically using
- 2012.12.13 [Visual Stdio 2010] Developing Visual Studio Extensions
- 2012.12.13 [Visual Studio 2010] Productivity Power Tools, anksvn 확장 프로그램
- 2012.12.12 [Visual Studio 2010] 정규표현식
- 2012.08.02 [Visual Basic 6.0] 마우스 휠이 동작하지 않을때
- 2012.05.16 [Visual Studio] Add-In 만들기
- 2012.04.11 [Visual Studio 2005] 매크로 환경변수
- 2012.03.10 [Visual Studio 2005] Visual Studio 2005 에서 ildasm.exe 위치
- 2012.03.08 [Visual Studio] 마법사 만들기
- 2011.03.01 [Visual Studio 2008] Unicode 기반 프로그램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 2011.02.15 [링크] 매크로를 이용한 Visual Studio .h .cpp 전환
- 2008.10.12 FAT32, NTFS 포맷 방식이 컴파일에 영향을 준다. 1
- 2008.09.18 Platform SDK 설치 1
- 2008.02.20 [Visual Studio 2005] Windows 2003에서 Visual Studio 2005 SP1 설치 오류 문제
- 2008.02.20 Visual Assist X
- 2008.02.20 [VC++ 6.0] VC++ 6.0 용 마지막 Platform SDK
글
[Visual Studio] Managing Packages Using the Package Manager Console
설정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Visual Studio 2013 Community Edition (0) | 2014.11.15 |
---|---|
[Visual Studio] Remote Debugger (0) | 2013.07.03 |
[Visual Studio] Advanced Debugging in Visual Studio (0) | 2013.05.28 |
[Visual Studio] Visual Studio 설치 관리자 (0) | 2013.04.17 |
[Visual Stdio 2010] 공백 표시 (0) | 2013.03.08 |
트랙백
댓글
글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Managing Packages Using the Package Manager Console (0) | 2015.01.30 |
---|---|
[Visual Studio] Remote Debugger (0) | 2013.07.03 |
[Visual Studio] Advanced Debugging in Visual Studio (0) | 2013.05.28 |
[Visual Studio] Visual Studio 설치 관리자 (0) | 2013.04.17 |
[Visual Stdio 2010] 공백 표시 (0) | 2013.03.08 |
트랙백
댓글
글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Managing Packages Using the Package Manager Console (0) | 2015.01.30 |
---|---|
[Visual Studio] Visual Studio 2013 Community Edition (0) | 2014.11.15 |
[Visual Studio] Advanced Debugging in Visual Studio (0) | 2013.05.28 |
[Visual Studio] Visual Studio 설치 관리자 (0) | 2013.04.17 |
[Visual Stdio 2010] 공백 표시 (0) | 2013.03.08 |
트랙백
댓글
글
출처 : http://www.codeproject.com/Articles/309781/Advanced-Debugging-in-Visual-Studio
Download AdvancedDebugging.zip - 28.2 KB (Visual Studio 2010 Solution)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Visual Studio 2013 Community Edition (0) | 2014.11.15 |
---|---|
[Visual Studio] Remote Debugger (0) | 2013.07.03 |
[Visual Studio] Visual Studio 설치 관리자 (0) | 2013.04.17 |
[Visual Stdio 2010] 공백 표시 (0) | 2013.03.08 |
[Visual Studio] Visual Studio Automation Object Model (0) | 2013.02.01 |
트랙백
댓글
글
Visual Studio 설치관리자 배포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vstudio/2kt85ked(v=vs.100).aspx
사용자 지정 작업 만들기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vstudio/d9k65z2d(v=vs.100).aspx
참고 : http://styletigger.tistory.com/21
추가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vstudio/d9k65z2d(v=vs.100).aspx
C++로 만드는 방법 : http://www.codeproject.com/Articles/335516/Custom-Action-in-Visual-Studio-setup-projects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windows/desktop/aa370134(v=vs.85).aspx
UINT __stdcall MyCustomAction(MSIHANDLE hInstall)
{
TCHAR* szValueBuf = NULL;
DWORD cchValueBuf = 0;
UINT uiStat = MsiGetProperty(hInstall, TEXT("MyProperty"), TEXT(""), &cchValueBuf);
//cchValueBuf now contains the size of the property's string, without null termination
if (ERROR_MORE_DATA == uiStat)
{
++cchValueBuf; // add 1 for null termination
szValueBuf = new TCHAR[cchValueBuf];
if (szValueBuf)
{
uiStat = MsiGetProperty(hInstall, TEXT("MyProperty"), szValueBuf, &cchValueBuf);
}
}
if (ERROR_SUCCESS != uiStat)
{
if (szValueBuf != NULL)
delete[] szValueBuf;
return ERROR_INSTALL_FAILURE;
}// custom action uses MyProperty
// ...delete[] szValueBuf;
return ERROR_SUCCESS;
}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Remote Debugger (0) | 2013.07.03 |
---|---|
[Visual Studio] Advanced Debugging in Visual Studio (0) | 2013.05.28 |
[Visual Stdio 2010] 공백 표시 (0) | 2013.03.08 |
[Visual Studio] Visual Studio Automation Object Model (0) | 2013.02.01 |
[Visual Studio 2010] Visual Studio Automatically using (0) | 2012.12.18 |
트랙백
댓글
글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Advanced Debugging in Visual Studio (0) | 2013.05.28 |
---|---|
[Visual Studio] Visual Studio 설치 관리자 (0) | 2013.04.17 |
[Visual Studio] Visual Studio Automation Object Model (0) | 2013.02.01 |
[Visual Studio 2010] Visual Studio Automatically using (0) | 2012.12.18 |
[Visual Stdio 2010] Developing Visual Studio Extensions (0) | 2012.12.13 |
트랙백
댓글
글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Visual Studio 설치 관리자 (0) | 2013.04.17 |
---|---|
[Visual Stdio 2010] 공백 표시 (0) | 2013.03.08 |
[Visual Studio 2010] Visual Studio Automatically using (0) | 2012.12.18 |
[Visual Stdio 2010] Developing Visual Studio Extensions (0) | 2012.12.13 |
[Visual Studio 2010] Productivity Power Tools, anksvn 확장 프로그램 (0) | 2012.12.13 |
트랙백
댓글
글
[Visual Studio 2010] Visual Studio Automatically using
설정
프로그램을 개발하다 보면은 툴에 익숙지 않아서 은근히 시간을 잡아 먹는 경우가 있다.
VC++을 하다가 Java를 할때 답답했던 첫번째는 많은 import를 어떻게 해야 하나 였다.
물론 이클립스에서 CTRL+SHIFT+O라는 환상의 단축키가 있다.
이런 비슷한게 C#에서 using문인데 찾아보니 위에것 정도 되는건 아니지만
고를수 있게 나오는 정도는 된다.
단축키는 CTRL+. 이다.
필요한 클래스에 커서를 놓고 'CTRL + .' 을 누르면 위에 이미지와 같이 인텔리센스 기능이 된다. 선택후 Enter 하면은 자동 포함 된다.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dio 2010] 공백 표시 (0) | 2013.03.08 |
---|---|
[Visual Studio] Visual Studio Automation Object Model (0) | 2013.02.01 |
[Visual Stdio 2010] Developing Visual Studio Extensions (0) | 2012.12.13 |
[Visual Studio 2010] Productivity Power Tools, anksvn 확장 프로그램 (0) | 2012.12.13 |
[Visual Studio 2010] 정규표현식 (0) | 2012.12.12 |
트랙백
댓글
글
[Visual Stdio 2010] Developing Visual Studio Extensions
설정
링크 : http://msdn.microsoft.com/ko-kr/vstudio/vextend/
링크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dd885119(v=vs.100).aspx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Visual Studio Automation Object Model (0) | 2013.02.01 |
---|---|
[Visual Studio 2010] Visual Studio Automatically using (0) | 2012.12.18 |
[Visual Studio 2010] Productivity Power Tools, anksvn 확장 프로그램 (0) | 2012.12.13 |
[Visual Studio 2010] 정규표현식 (0) | 2012.12.12 |
[Visual Basic 6.0] 마우스 휠이 동작하지 않을때 (0) | 2012.08.02 |
트랙백
댓글
글
[Visual Studio 2010] Productivity Power Tools, anksvn 확장 프로그램
설정
* Productivity Power Tools
다운로드 : http://visualstudiogallery.msdn.microsoft.com/d0d33361-18e2-46c0-8ff2-4adea1e34fef
참고 : http://blog.naver.com/empty_wagon?Redirect=Log&logNo=20123797318
* anksvn
다운로드 : http://visualstudiogallery.msdn.microsoft.com/E721D830-7664-4E02-8D03-933C3F1477F2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2010] Visual Studio Automatically using (0) | 2012.12.18 |
---|---|
[Visual Stdio 2010] Developing Visual Studio Extensions (0) | 2012.12.13 |
[Visual Studio 2010] 정규표현식 (0) | 2012.12.12 |
[Visual Basic 6.0] 마우스 휠이 동작하지 않을때 (0) | 2012.08.02 |
[Visual Studio] Add-In 만들기 (0) | 2012.05.16 |
트랙백
댓글
글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dio 2010] Developing Visual Studio Extensions (0) | 2012.12.13 |
---|---|
[Visual Studio 2010] Productivity Power Tools, anksvn 확장 프로그램 (0) | 2012.12.13 |
[Visual Basic 6.0] 마우스 휠이 동작하지 않을때 (0) | 2012.08.02 |
[Visual Studio] Add-In 만들기 (0) | 2012.05.16 |
[Visual Studio 2005] 매크로 환경변수 (0) | 2012.04.11 |
트랙백
댓글
글
링크 : http://support.microsoft.com/?id=837910
방법 1
추가 기능 DLL 및 추가 기능 DLL을 만드는 데 사용 되는 코드를 포함 VB6 마우스 Wheel.exe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VB6 마우스 Wheel.exe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다음 파일 Microsoft 다운로드 센터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지금 VB6MouseWheel.EXE 패키지 다운로드
Microsoft 지원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방법에 대 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 번호를 클릭 합니다.119591 온라인 서비스 로부터 Microsoft 지원 파일을 구하는 방법Microsoft는이 파일을 검색. Microsoft는 파일을 게시 한 날짜에 사용할 수 있었던 최신 바이러스 검색 소프트웨어를 사용 합니다. 파일은 무단으로 변경할 수 없도록 보안이 향상 된 서버에 저장 됩니다. - 시작, 실행을 차례로 형식 regsvr32 <path> \VB6IDEMouseWheelAddin.dll, 다음 확인 을 클릭 합니다..
- Visual Basic 6.0을 시작 합니다.
- 추가 기능클릭 한 다음 추가 기능 관리자 를 클릭 합니다..
- 추가 기능 관리자 목록에서 MouseWheel Fix 를 클릭 합니다..
- 로드/언로드 확인란을 선택 합니다 클릭 한 다음 시작할 때 로드 확인란을 선택 합니다.
- 확인 을 클릭 합니다..
방법 2
Microsoft IntelliPoint 소프트웨어의 이전 버전을 반환 합니다. 이렇게 하려면 다음과이 같이 하십시오.- IntelliPoint 소프트웨어가 컴퓨터에 설치 된 4.9 버전 또는 이후 버전이 있으면 컴퓨터에서 IntelliPoint 소프트웨어를 제거 합니다.
- IntelliPoint 소프트웨어 버전 4.12 설치 합니다. 다음 파일 Microsoft 다운로드 센터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IntelliPoint 4.12 패키지를 지금 다운로드 하십시오.
Microsoft 지원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 방법에 대 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의 다음 문서 번호를 클릭 합니다.119591 온라인 서비스 로부터 Microsoft 지원 파일을 구하는 방법Microsoft는이 파일을 검색. Microsoft는 파일을 게시 한 날짜에 사용할 수 있었던 최신 바이러스 검색 소프트웨어를 사용 합니다. 파일은 무단으로 변경할 수 없도록 보안이 향상 된 서버에 저장 됩니다.
Windows 레지스트리 편집기 버전 5.00
- "MouseWheel Fix FriendlyName"=""
- "CommandLineSafe" = dword: 00000000
- "LoadBehavior" = dword: 00000000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2010] Productivity Power Tools, anksvn 확장 프로그램 (0) | 2012.12.13 |
---|---|
[Visual Studio 2010] 정규표현식 (0) | 2012.12.12 |
[Visual Studio] Add-In 만들기 (0) | 2012.05.16 |
[Visual Studio 2005] 매크로 환경변수 (0) | 2012.04.11 |
[Visual Studio 2005] Visual Studio 2005 에서 ildasm.exe 위치 (0) | 2012.03.10 |
트랙백
댓글
글
링크 : http://www.mztools.com/articles/2005/mz2005003.aspx
링크 : http://www.mztools.com/articles/2004/MZ2004003.aspx
링크 : http://www.codeproject.com/Articles/12244/Adding-Menu-Items-to-context-menus-inside-the-Visu
링크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microsoft.visualstudio.commandbars.aspx
링크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xc52cke4(VS.100).aspx
* Register
링크 : http://msdn.microsoft.com/en-us/library/19dax6cz(v=VS.90).aspx
링크 : http://blog.naver.com/kpetera?Redirect=Log&logNo=70134488358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2010] 정규표현식 (0) | 2012.12.12 |
---|---|
[Visual Basic 6.0] 마우스 휠이 동작하지 않을때 (0) | 2012.08.02 |
[Visual Studio 2005] 매크로 환경변수 (0) | 2012.04.11 |
[Visual Studio 2005] Visual Studio 2005 에서 ildasm.exe 위치 (0) | 2012.03.10 |
[Visual Studio] 마법사 만들기 (0) | 2012.03.08 |
트랙백
댓글
글
링크 : http://sonumb.tistory.com/29
Visual Studio 2005 상에서 쓰이는 Macro 환경 변수
Macro | Description |
$(ConfigurationName) | The name of the current project configuration, for example, "Debug|Any CPU". |
$(OutDir) | Path to the output file directory, relative to the project directory. This resolves to the value for the Output Directory property. It includes the trailing backslash '\'. |
$(DevEnvDir) | The installation directory of Visual Studio 2005 (defined with drive and path); includes the trailing backslash '\'. |
$(PlatformName) | The name of the currently targeted platform. For example, "AnyCPU". |
$(ProjectDir) | The directory of the project (defined with drive and path); includes the trailing backslash '\'. |
$(ProjectPath) | The absolute path name of the project (defined with drive, path, base name, and file extension). |
$(ProjectName) | The base name of the project. |
$(ProjectFileName) | The file name of the project (defined with base name and file extension). |
$(ProjectExt) | The file extension of the project. It includes the '.' before the file extension. |
$(SolutionDir) | The directory of the solution (defined with drive and path); includes the trailing backslash '\'. |
$(SolutionPath) | The absolute path name of the solution (defined with drive, path, base name, and file extension). |
$(SolutionName) | The base name of the solution. |
$(SolutionFileName) | The file name of the solution (defined with base name and file extension). |
$(SolutionExt) | The file extension of the solution. It includes the '.' before the file extension. |
$(TargetDir) | The directory of the primary output file for the build (defined with drive and path). It includes the trailing backslash '\'. |
$(TargetPath) | The absolute path name of the primary output file for the build (defined with drive, path, base name, and file extension). |
$(TargetName) | The base name of the primary output file for the build. |
$(TargetFileName) | The file name of the primary output file for the build (defined as base name and file extension). |
$(TargetExt) | The file extension of the primary output file for the build. It includes the '.' before the file extension. |
주절 주절~ 더군다나 영어!!
이럴땐 예시를 보는게 킹왕짱입니다. . -_-
- 보통 UNIX와 윈도우즈에서 말하는 Path는 "파일의 이름 및 확장자를 포함하는 경로"이고 Directory는 "파일의 경로만"을 얘기합니다.
그럼 파일의 Path가 "c:windowscmd.exe"라면 그 파일의 Directory는 "c:windows\" 인거죠. :)
또 다른 팁은 FileName = Name + Ext 가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외우기 좀 쉬워지죠?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Basic 6.0] 마우스 휠이 동작하지 않을때 (0) | 2012.08.02 |
---|---|
[Visual Studio] Add-In 만들기 (0) | 2012.05.16 |
[Visual Studio 2005] Visual Studio 2005 에서 ildasm.exe 위치 (0) | 2012.03.10 |
[Visual Studio] 마법사 만들기 (0) | 2012.03.08 |
[Visual Studio 2008] Unicode 기반 프로그램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0) | 2011.03.01 |
트랙백
댓글
글
[Visual Studio 2005] Visual Studio 2005 에서 ildasm.exe 위치
설정
64bit :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8\SDK\v2.0\Bin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Add-In 만들기 (0) | 2012.05.16 |
---|---|
[Visual Studio 2005] 매크로 환경변수 (0) | 2012.04.11 |
[Visual Studio] 마법사 만들기 (0) | 2012.03.08 |
[Visual Studio 2008] Unicode 기반 프로그램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0) | 2011.03.01 |
[링크] 매크로를 이용한 Visual Studio .h .cpp 전환 (0) | 2011.02.15 |
트랙백
댓글
글
Visual Studio 환경확장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esk3eey8(v=vs.80).aspx
자동화 어셈블리 및 DTE2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t6d9sf9k(v=vs.90).aspx
VSZ 만들기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b48hhx46(v=vs.80).aspx
VSDIR 만들기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2sc7ft4a(v=vs.80).aspx
한글 : http://cafe.naver.com/jcg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9&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2005] 매크로 환경변수 (0) | 2012.04.11 |
---|---|
[Visual Studio 2005] Visual Studio 2005 에서 ildasm.exe 위치 (0) | 2012.03.10 |
[Visual Studio 2008] Unicode 기반 프로그램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0) | 2011.03.01 |
[링크] 매크로를 이용한 Visual Studio .h .cpp 전환 (0) | 2011.02.15 |
FAT32, NTFS 포맷 방식이 컴파일에 영향을 준다. (1) | 2008.10.12 |
트랙백
댓글
글
Visual Studio 2008에서 데이터베이스에 Input, Output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프로그램에서 Oracle에 Insert하면은 정상적으로 한글이 보이는데
파일을 읽어서 Oracle에 Insert하면은 깨지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결국 해결은
Visual Studio 2008의 로케일을 변경해서 해결했습니다.
// 로케일을 설정 _tsetlocale(LC_ALL, _T("korean")); // 또는 #pragma로도 가능하다. #pragma setlocale("korean")
또한 #pragma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2005] Visual Studio 2005 에서 ildasm.exe 위치 (0) | 2012.03.10 |
---|---|
[Visual Studio] 마법사 만들기 (0) | 2012.03.08 |
[링크] 매크로를 이용한 Visual Studio .h .cpp 전환 (0) | 2011.02.15 |
FAT32, NTFS 포맷 방식이 컴파일에 영향을 준다. (1) | 2008.10.12 |
Platform SDK 설치 (1) | 2008.09.18 |
트랙백
댓글
글
Visual Assist X를 사용하면 제일 편한 기능중 하나가 .h와 .cpp간의 전환 단축키 입니다.
이걸 매크로로 구현한 글이 있어서 링크 합니다.
Visual Studio 2005, 2008에서 동작 확인했습니다.
Function OpenDocument(ByVal path As String) As Window If (My.Computer.FileSystem.FileExists(path)) Then OpenDocument = DTE.ItemOperations.OpenFile(path) Else Dim filename As String filename = path.Substring(path.LastIndexOf("\") + 1) Dim item As ProjectItem item = DTE.Solution.FindProjectItem(filename) If (item IsNot Nothing) Then If (item.Document Is Nothing) Then OpenDocument = item.Open() Else OpenDocument = item.Document.ActiveWindow() End If End If End If If (OpenDocument IsNot Nothing) Then OpenDocument.Activate() End If End Function Sub ToggleBetweenSourceAndHeader() Dim document As Document document = DTE.ActiveDocument Dim path As String path = document.FullName Dim ext_position As Integer ext_position = path.LastIndexOf(".") If (ext_position <> -1) Then Dim ext As String ext = path.Substring(ext_position) Dim path_without_ext As String path_without_ext = path.Remove(ext_position, ext.Length()) If (ext.ToLower().Contains(".cpp")) Then ' .cpp -> .hpp or .h If (OpenDocument(path_without_ext & ".hpp") Is Nothing) Then OpenDocument(path_without_ext & ".h") End If ElseIf (ext.ToLower().Contains(".cxx")) Then ' .cxx -> .hxx OpenDocument(path_without_ext & ".hxx") ElseIf (ext.ToLower().Contains(".cc")) Then ' .cc -> .hh OpenDocument(path_without_ext & ".hh") ElseIf (ext.ToLower().Contains(".c")) Then OpenDocument(path_without_ext & ".h") ElseIf (ext.ToLower().Contains(".h")) Then ' .h -> .c or .cpp If (OpenDocument(path_without_ext & ".c") Is Nothing) Then OpenDocument(path_without_ext & ".cpp") End If ElseIf (ext.ToLower().Contains(".hpp")) Then ' .hpp -> .cpp OpenDocument(path_without_ext & ".cpp") ElseIf (ext.ToLower().Contains(".hxx")) Then ' .hxx -> .cxx OpenDocument(path_without_ext & ".cxx") ElseIf (ext.ToLower().Contains(".hh")) Then ' .hh -> .cc OpenDocument(path_without_ext & ".cc") End If End If End Sub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마법사 만들기 (0) | 2012.03.08 |
---|---|
[Visual Studio 2008] Unicode 기반 프로그램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0) | 2011.03.01 |
FAT32, NTFS 포맷 방식이 컴파일에 영향을 준다. (1) | 2008.10.12 |
Platform SDK 설치 (1) | 2008.09.18 |
[Visual Studio 2005] Windows 2003에서 Visual Studio 2005 SP1 설치 오류 문제 (0) | 2008.02.20 |
트랙백
댓글
글
오늘 작업중인 노트북을 새로 밀었다.
프로젝트 진행중이던 프로그램들은 USB 하드에 백업해구도 다시 복구하니...
헉!!!! Visual Studio 2005에서 실행이 안되는 것이다.
그 첫번째 에러메세지는 공유 MFC DLL을 사용했는데 디버그용
mfc80ud.dll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정적 MFC 로 컴파일 해보니
잘된다... 그래도 찜찜해서
다시 공유 DLL로 하고 직접 mfc80ud.dll을 옮겨서 해봤으나 이번에는
C 런타임 dll vmsvcr80d.dll 을 찾을수 없다고 한데..
역쉬 찾아서 넣어줬지만 이젠 알 수 없는 에러가 나버린다..
여기 저기 찾고... 별 방법을 다 해봤으나 안되는데
갑자기 든 생각이 새로 노트북을 밀면서 FAT32 방식으로 포맷을 바꿨다.
기존의 방식은 NTFS 방식이었다
결국 다시 노트북을 밀고 NTFS 방식으로 해보니
제대로 된다...
왜 이렇게 되는지 이유는 모르겠고 무엇때문에 안되는지는 알았는데
찜찜하다....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sual Studio 2008] Unicode 기반 프로그램에서 한글이 깨지는 현상 (0) | 2011.03.01 |
---|---|
[링크] 매크로를 이용한 Visual Studio .h .cpp 전환 (0) | 2011.02.15 |
Platform SDK 설치 (1) | 2008.09.18 |
[Visual Studio 2005] Windows 2003에서 Visual Studio 2005 SP1 설치 오류 문제 (0) | 2008.02.20 |
Visual Assist X (0) | 2008.02.20 |
트랙백
댓글
글
Visual Studio 만을 설치하는 것으로는 부족합니다.
VS 가 지난 97 년에 나왔고, 지금 쓰고 있는 것도 VC98 폴더명을 통해서 유추해봐도 98 년 정도에 나온 것을
대부분의 개발자들이 그대로 쓰고 있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하루가 다르게 기존 개발환경은 업데이트 되고 있기 때문에, 98 년도에 나온 Windows 개발관련 Header 파일은
내용이 많이 부실한 상황입니다.
이런저런 이유로, MS 에서는 Platform SDK 를 내놓았습니다.
물론, 무료이고
http://www.microsoft.com/msdownload/platformsdk/sdkupdate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자신이 근무하는 회사가 "MSDN Universal" 을 받고 있다면, 그 때 받게 되는
묵직한 "CD" 박스에 "Platform SDK" CD 가 들어 있으니, 그걸로 설치하셔도 됩니다.
해당 웹페이지에 가면, Windows SDK 라고 해서 "Core SDK", "DirectX SDK", "Internet Development SDK", "IIS SDK",
"MDAC SDK", "Windows Installer SDK", "WMI SDK" 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마음같아서는 모두 설치하고 싶으시겠지만, 웹상에서 다운로드 받는 것이기 때문에 "Core SDK" 만 설치하는 데도
시간단위로 걸립니다. 나머지는 해당 분야에 맞게 골라서 설치하시면 되고, 기본적으로 꼭 "Core SDK" 는 설치를 하십시오.
"Platform SDK" 를 설치하는 경우 부가적으로 "Platform SDK" 도움말 파일도 설치가 됩니다. MS 행사에서 간혹, "MSDN
Library" 를 나누어 주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 MSDN Library 도움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Platform SDK"
도움말입니다. MSDN Library 와 많은 부분에서 중복이 되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의 공간이 GB 단위로 손실이 발생합니다.
더군다나, 거기다가 Visual Studio.NET 까지 설치하면 .NET 도움말에도 MSDN Library 가 있어서, 3중으로 중복된 파일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래서 저같은 경우에는 아예 "MSDN Library" 를 제거했고, 그냥 Platform SDK 설치와 함께 제공되는
도움말을 쓰고 있습니다.
설치가 완전히 되고 나면, Visual Studio IDE 에 Platform SDK 의 존재를 알려야 됩니다. "Platform SDK" 설치과정중에
자동적으로 해주는 단계가 있는데, 그 단계를 무시했다고 해도 상관없습니다. 수동으로 다음과 같이 입력해 주면 됩니다.
VC++ IDE 에서 "Tools/Options" 메뉴에 "Directories" 탭을 누른후,
오른쪽 윗편에 "Include files" 를 선택하신 후, 다음과 같은 순서인지 확인합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Platform SDK\include
C:\Program Files\Microsoft Platform SDK\include\ATL30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VC98\INCLUDE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VC98\MFC\INCLUDE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VC98\ATL\INCLUDE
"Library files" 에도 Platform SDK 의 존재를 알립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VC98\LIB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VC98\MFC\LIB
C:\Program Files\Microsoft Platform SDK\lib
위에서 보면 Include File 같은 경우에 Platform SDK 폴더의 것을 상위에 놓았고, Library 의 경우에는 맨 하위에 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냐면... 개발을 하다 보니, 새로 나온 Platform SDK 의 Lib 파일을 사용하는 경우, 불안정하게 동작하는 것을 많이 경험
했습니다. 그래서, 헤더파일만 위에 놓고, Lib 파일은 우선순위를 가장 아래로 두었습니다.
여러분이 저를 기준으로 삼을 필요는 없습니다. Library 역시 Platform SDK 를 가장 상위에 놓아도 됩니다. 단지, 저는 그렇게
하고 싶지 않을 뿐입니다.
출처 http://www.sysnet.pe.kr/Default.aspx?mode=2&sub=0&pageno=11&detail=1&wid=20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 매크로를 이용한 Visual Studio .h .cpp 전환 (0) | 2011.02.15 |
---|---|
FAT32, NTFS 포맷 방식이 컴파일에 영향을 준다. (1) | 2008.10.12 |
[Visual Studio 2005] Windows 2003에서 Visual Studio 2005 SP1 설치 오류 문제 (0) | 2008.02.20 |
Visual Assist X (0) | 2008.02.20 |
[VC++ 6.0] VC++ 6.0 용 마지막 Platform SDK (0) | 2008.02.20 |
트랙백
댓글
글
[Visual Studio 2005] Windows 2003에서 Visual Studio 2005 SP1 설치 오류 문제
설정
Windows 2003에서 Visual Studio 2005 SP1 설치 오류 문제
|
Error message when you try to install a large Windows Installer package or a large Windows Installer patch package in Windows Server 2003 or in Windows XP: "Error 1718. File was rejected by digital signature policy"
SYMPTOMS
CAUSE
WORKAROUND
1. Click Start, click Run, type control admintools, and then click OK.
2. Double-click Local Security Policy(로컬 보안 설정).
3. Click Software Restriction Policies(소프트웨어 제한 정책).
4. Under Object Type(개체 유형), double-click Enforcement(강요).
5. Click All users except local administrators(로컬 관리자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 and then click OK.
6. Restart the computer.
Important After you follow the previous steps, local administrators can install the .msi package or the .msp package. After the package is installed, reset the enforcement level by following the previous steps. In step 5, click All users instead of All users except local administrators.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 매크로를 이용한 Visual Studio .h .cpp 전환 (0) | 2011.02.15 |
---|---|
FAT32, NTFS 포맷 방식이 컴파일에 영향을 준다. (1) | 2008.10.12 |
Platform SDK 설치 (1) | 2008.09.18 |
Visual Assist X (0) | 2008.02.20 |
[VC++ 6.0] VC++ 6.0 용 마지막 Platform SDK (0) | 2008.02.20 |
트랙백
댓글
글
Assist X에 여러가지 기능이 있지만 그중에 제일 좋은건
1. Alt+O
C++ 프로그래머라면....
.h 파일과 .cpp 파일을 오가는데 많이 힘들어 하실텐데요
ALT+O로 한번에 이동 할 수 있습니다. 정말 편합니다.
2. Alt+G
자료형이나 함수의 정의된 곳으로 이동하는 단축키 입니다.
ps. 그리고 Visual Studio에서 ctrl+Tap을 누르면 윈도우에서 Alt+Tap을 누른것과 같은
현재 띄워놓은 창들이 리스트 형식으로 쭉~~~~ 나타납니다.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 매크로를 이용한 Visual Studio .h .cpp 전환 (0) | 2011.02.15 |
---|---|
FAT32, NTFS 포맷 방식이 컴파일에 영향을 준다. (1) | 2008.10.12 |
Platform SDK 설치 (1) | 2008.09.18 |
[Visual Studio 2005] Windows 2003에서 Visual Studio 2005 SP1 설치 오류 문제 (0) | 2008.02.20 |
[VC++ 6.0] VC++ 6.0 용 마지막 Platform SDK (0) | 2008.02.20 |
트랙백
댓글
글
http://www.microsoft.com/msdownload/platformsdk/sdkupdate/psdk-full.htm
'IDE/Tool > Visual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링크] 매크로를 이용한 Visual Studio .h .cpp 전환 (0) | 2011.02.15 |
---|---|
FAT32, NTFS 포맷 방식이 컴파일에 영향을 준다. (1) | 2008.10.12 |
Platform SDK 설치 (1) | 2008.09.18 |
[Visual Studio 2005] Windows 2003에서 Visual Studio 2005 SP1 설치 오류 문제 (0) | 2008.02.20 |
Visual Assist X (0) | 2008.02.20 |
RECENT COMMENT